IT 대기업 20년차 아줌마의 노후준비와 자녀교육

"연봉 1.2억, 배당소득 2천만 원 vs 2,500만 원 – 종합소득세 차이와 절세 전략" 본문

월급쟁이의 경제공부

"연봉 1.2억, 배당소득 2천만 원 vs 2,500만 원 – 종합소득세 차이와 절세 전략"

Edu-finance 2025. 3. 25. 10:36

 

"연봉 1.2억, 배당소득 2천만 원 vs 2,500만 원 – 종합소득세 차이와 절세 전략"

 

 

월급쟁이들은 항상 부수입을 원하지

나처럼 말이야

내가 일할때 내 돈도 일하게 하는 방법 알려줄께~

그 중에 하나가 배당수익 받는 법.. 

그런데 월급쟁이들은 항상 종합소득세 신고 기준을 알고 대비해야 해~ 

 

배당소득에 따른 종합소득세 비교

 

그럼 과연 배당수익이 얼마가 되어야 종합과세 되지 않을까?

 

연 2,000만원이야

 

예를 들어. 

 

연봉 1.2억 원일 때,

  1. 배당소득 2,000만 원 (분리과세 가능)
  2. 배당소득 2,500만 원 (종합과세)

각각의 경우 종합소득세를 비교해 보면, 


1. 배당소득 2,000만 원 (분리과세 적용)


 

1) 근로소득공제 1.2억 × 28% - 1,540만 1,936만 원
2)0 과세표준 1.2억 - 1,936만 1억 64만 원
3) 근로소득세 (누진세율 적용) 72 + 510 + 1,008 + 630 - 1,490 730만 원
4) 지방소득세 730만 × 10% 73만 원
5) 총 종합소득세 730만 + 73만 803만 원
6) 배당소득세 (분리과세, 15.4%) 2,000만 × 15.4% 308만 원
 총 세금 부담 803만 + 308만 1,111만 원

 


2. 배당소득 2,500만 원 (종합과세 적용)

1) 근로소득세 계산 (동일) 과세표준 1억 64만 원
  근로소득세 730만 원
  지방소득세 73만 원
2) 배당소득 과세 표준 배당소득공제 = 2,500만 × 15% 375만 원
  과세표준 = 2,500만 - 375만 2,125만 원
3) 총 과세표준 1억 64만 + 2,125만 1억 2,189만 원
4) 종합소득세 계산 (누진세율 적용) 72 + 510 + 1,008 + 1,185 - 1,490 1,285만 원
5) 지방소득세 1,285만 × 10% 128.5만 원
6) 총 종합소득세 1,285만 + 128.5만 1,413.5만 원
총 세금 부담 총 종합소득세 1,413.5만 원

 


3. 세금 비교 정리

배당소득과세 방식종합소득세배당소득세총 세금 부담
2,000만 원 분리과세 (15.4%) 803만 원 308만 원 1,111만 원
2,500만 원 종합과세 (누진세율) 1,413.5만 원 (없음) 1,413.5만 원

📌 결론:
✔ 배당소득 2,000만 원 이하는 분리과세(15.4%) 가능하여 절세 효과 큼
✔ 배당소득이 2,500만 원이 되면 종합과세로 인해 세금이 300만 원 이상 증가
배당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면 세금 부담이 커지므로, 절세를 위해 2,000만 원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유리

월급쟁이들은 연봉에 상관없이 배당소득이 2,000만원 이상이냐..미만이냐에 따라 종합과세 여부가 결정 되니 잘 조절해서 배당수익으로 부수입을 만들어 보는 전략을 추천!!


💡 다음 주제로는 절세 TIP!!! 더 알려줄께

  1. 배당소득을 2천만 원 이하로 유지하면 종합과세를 피할 수 있음.
  2. 배당을 가족 계좌로 분산하여 개인별 금융소득을 2천만 원 이하로 관리.
  3.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나 연금계좌(연금저축, IRP)로 배당받으면 비과세 또는 저율과세 혜택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