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대기업 20년차 아줌마의 노후준비와 자녀교육

IT 회사 20년차 아줌마의 배당 절세 플랜 본문

월급쟁이의 경제공부

IT 회사 20년차 아줌마의 배당 절세 플랜

Edu-finance 2025. 3. 27. 00:42
가족 명의 계좌를 활용해 배당소득을 2,000만 원 이하로 조절하는 방법


아래는 "가족 명의 계좌를 활용해 배당소득을 2,000만원 이하로 조절하는 방법"을 표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IT 대기업 20년차 아줌마로서 노후 준비와 자녀 교육 자금 마련을 위한 실용적인 전략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가족 명의 계좌 활용 전략 표


 

구분 본인  배우자  자녀 (성년) 자녀 (미성년)
증여 가능
한도
- 10년간 6억 원 (비과세) 10년간 5,000만 원
(비과세)
10년간 2,000만 원
(비과세)
증여 예시
금액
- 6,000만 원 5,000만 원 2,000만 원
투자 금액 4,000만 원 6,000만 원 5,000만 원 2,000만 원
배당률
(가정)
5% 5% 5% 5%
연 배당소득 200만 원 300만 원 250만 원 100만 원
금융소득 합계 200만 원
(2,000만 원 이하)
300만 원
(2,000만 원 이하)
250만 원
(2,000만 원 이하)
100만 원
(2,000만 원 이하)
세율 적용 15.4%
(원천징수로 종료)
15.4%
(원천징수로 종료)
15.4%
(원천징수로 종료)
15.4%
(원천징수로 종료)

전략별 세부 방법 표


 

방법 설명 예시 주의사항
자산 증여 후 투자 가족에게 비과세 한도 내 자금을 증여하고 각 명의로 배당주 투자 본인 3,500만 원 → 배우자 1,500만 원, 자녀 1,000만 원 증여 → 각자 투자 증여계약서 등 증빙 필요
가족 명의
투자 상품
배우자/자녀 명의로 주식, ETF, 리츠 등 배당 상품 가입 자녀 명의로 5,000만 원 투자(연 4% 배당) → 연 200만 원 배당 기존 금융소득 합산 확인
만기 조정
으로 분산
배당/이자 지급 시기를 연도별로 나눠 2,000만 원 이하 유지 1억 원(연 5%) 3년 만기 → 연 1,500만 원 대신 1년 만기로 나눠 연 500만 원씩 분산 투자 상품의 만기 구조 점검
비과세/
분리과세 활용
ISA, 연금저축, 공모 리츠 등으로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 줄임 ISA 연 200만 원 비과세, 공모 리츠 9.9% 분리과세 → 종합과세 제외 한도 초과 시 증여세 부과 가능

세부 절세 팁 표


 

항목 내용 효과 적용 가능 조건
ISA 계좌 연 200~400만 원 비과세 한도 금융소득 2,000만 원 내 유지 연간 납입 한도 2,000만 원
연금저축계좌 연 400만 원 세액공제 및 과세 이연 세 부담 감소 및 노후 자금 확보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공모 리츠 9.9% 분리과세로 종합과세 제외 배당소득 분산 효과 공모형 상품만 해당
비과세종합저축 65세 이상 5,000만 원 한도 내 비과세 노후 대비 비과세 자금 확보 65세 이상 본인/배우자 적용

예시 시나리오 표 (배당소득 3,500만 원 조절)


 

구성원 기존 배당소득 증여 금액 투자 금액 조정 후 배당 소득 세율
본인 3,500만 원 - 4,000만 원 200만 원 15.4% (종합과세 X)
배우자 0원 6,000만 원 6,000만 원 300만 원 15.4% (종합과세 X)
자녀(성년) 0원 5,000만 원 5,000만 원 250만 원 15.4% (종합과세 X)
합계 3,500만 원 1억 1,000만 원 1억 5,000만 원 750만 원 -

결론

  • 핵심 전략: 본인의 배당소득(예: 3,500만 원)을 배우자와 자녀에게 증여를 통해 분산하면 각자 2,000만 원 이하로 조절 가능 → 종합과세 피하고 세 부담 최소화.
  • 추가 고려: 증여 시 증빙(계좌 이체 내역, 증여계약서) 확보, 가족 구성원의 기존 금융소득 점검.